소설가 한강이 202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새 역사를 썼다. 지난 5년간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명단과 주요 작품을 소개한다.
https://kjgerman.tistory.com/352
https://kjgerman.tistory.com/388
욘 포세
(노르웨이·2023년)
현대 연극의 최전선을 써 내려가는 극작가. 스웨덴 한림원은 포세에 대해 “혁신적인 희곡과 산문으로, 이루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목소리를 부여한다”고 평했다. 작품 전반에 마침표를 사용하지 않거나 같은 내용처럼 보이는 문장을 변주하며 반복하는 문체는 마술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평범한 일상 속 단편을 재현하면서도 삶과 죽음, 인간의 존재 이유와 같은 심오한 주제를 본인만의 방식으로 제시한다.
2000년에 발표된 대표작인 소설 <아침 그리고 저녁>은 노르웨이 바닷가에서 태어나 살다가 죽은 어부 요한네스의 탄생과 죽음을 시적으로, 음악적으로 그린 작품. 이미 죽어버린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이어 붙이며 중첩되는 혼란은 탄생과 소멸이 끊어지지 않고 뒤엉켜 연결돼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 소설은 인생의 탄생과 죽음을 시적으로 그림으로써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죽은 뒤에 남는 것은 돈, 권력, 명예, 관계도 아닌 관계 속에서 싹튼 기억뿐이라는 것을.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아니 에르노
(프랑스·2022년)
역사상 가장 많은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를 배출한 프랑스 최초의 여성 수상자. 스웨덴 한림원은 에르노에 대해 “개인적인 기억의 근원과 소외, 집단적 억압의 덮개를 벗긴 용기와 예리함으로 탐구했다”고 평했다. 스스로 “직접 체험하지 않은 허구를 쓴 적은 한 번도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해 온 아니 애르노. 그는 ‘자전적 글쓰기’라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 작가로 여겨진다.
1991년에 발표된 대표작인 소설 <단순한 열정>은 연하의 외국인 유부남과의 사랑을 다룬 작품. 그 서술의 사실성과 선정성 탓에 출간 당시 파장 일으키기도 했다. 에르노가 보여주는 예민한 관찰력은 1인칭의 시점으로 한 사람이 가진 일반적이고도 보편적인 열정을 분석한 반(反) 감정 소설로, 이별과 외로움이라는 수난을 겪은 이들의 속내를 대변한다.
둘라자크 구르나
(탄자니아·2021년)
식민주의 관련 담론을 주로 탐구하던 소설가. 아프리카 출신 흑인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은 것은 1986년 나이지리아 출신 윌레 소잉카 이후 35년 만이다. 스웨덴 한림원은 구르나에 대해 “식민주의의 영향 및 식민주의 영향 및 문화·대륙 사이 격차 속에서 난민의 운명에 대해 타협 없는 자세로 연민 어린 통찰을 보여줬다”며 “전 세계 많은 이들에게 낯선 동아프리카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시각을 열어줬다”고 평했다.
1994년에 발표된 대표작인 소설 <낙원>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탄자니아의 ‘카와’라는 가공의 도시에서 태어난 유수프라는 소년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역사 소설로,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오른 바 있다. 구르나는 탄자니아 잔지바르에서 태어나 1960년 난민 신분으로 영국으로 이주해 문학과 학문 활동을 해왔다.
루이즈 글릭
(미국·2020년)
1901년 이후 전체 노벨 문학상 수상자 117명 가운데 16번째 여성 수상자다. 스웨덴 한림원은 글릭에 대해 “꾸밈없는 아름다움을 갖춘 확고한 시적 표현으로 개인의 존재를 보편적으로 나타냈다”고 평했다. 이어 어린 시절과 가족의 삶, 부모와 형제, 자매와의 밀접한 관계 등 가까운 관계에 초점을 맞추되, 인간 보편의 문제로 확장해 독창적인 성찰을 이뤄냈다는 설명이다. 한림원은 글릭의 저작 가운데 대표작인 <아베르노>를 꼽으면서 이 작품이 하데스에 붙잡힌 페르세포네의 신화를 몽환적이고 능수능란하게 해석했다고 호평했다.
글릭은 1943년에 태어나 1968년 첫 작품 <맏이>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한 후 미국 현대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993년 <야생 붓꽃>으로 퓰리처상을, 2014년에는 <내셔널 북 어워드>를 수상했다.
페터 한트케
(오스트리아·2019년)
고정관념에 도전하면서 독일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해 온 극작가. 한림원은 한트케에 대해 "인간 체험의 뻗어 나간 갈래와 개별성을 독창적 언어로 탐구한 영향력 있는 작품을 썼다"고 평했다.
희극 <관객모독>으로 한국에도 친숙한 인물이다. 이 연극은 기존 형식을 파괴하고 ‘언어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작품으로, 관객이 취하는 방관자적 태도를 비판한다. 줄곧 관객을 모독하는 도발적인 내용으로 관객의 격렬하고도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내면서 무대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대하는 전통적 관극 태도를 고발한다. 문학의 정치화를 주장하며 파격적인 언어로 현실의 위선과 부조리를 고발하는 전위적인 작품 세계로 알려져 있다.
https://kjgerman.tistory.com/303
⬇️독일어 수업, 유학 & 현지정착 관련 문의, 개인/비즈니스 통역 문의는 아래 링크로 부탁드립니다⬇️
KJ독일어
오스트리아 현지 독일어 학원 & 유학 컨설턴트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트리아산 겨우살이 요법, 암 치료 보조제로서의 '아이소렐'(Isorel) (3) | 2024.11.14 |
---|---|
오스트리아관광청, 대사관 합병으로 인한 사무실 이전 (2) | 2024.11.11 |
韓 스타트업 '베슬AI', 오스트리아 주도 유럽 진출 프로그램 선정 (7) | 2024.10.22 |
내 강아지에게 세금 물린다? (반려동물 보유세) (5) | 2024.10.07 |
거듭되는 전쟁 속 방산주의 변신: '죽음 장사꾼' -> '수호자' (7)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