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고속도로는 처음 언제 & 어떻게 생기게 됐을까?

SMALL

 

고속도로는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를 위해 특별히 건설된 도로다. 신호등 대신 입체 교차로와 나들목을 만들고, 주변 도로와의 만남을 최소화해 목적지까지 고속으로 달릴 수 있게 했다. 1968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체결된 ‘유엔 도로교통에 관한 협약’(UN Vienna Convention on Road Traffic 1968)이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속도로는 양방향 통행을 위한 중앙분리대가 있고, 다른 도로 및 철도와 수평으로 교차하지 않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고속도로 표지판이 설치된 도로를 의미한다. 보행자는 물론 자전거, 트랙터는 다닐 수 없는 자동차만을 위한 길이다.

이런 개념에 어울리는 도로는 1920년대 초반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는 1924년 밀라노 인근 라이나테와 스위스 키아소를 연결하는 아우토스트라다(A9)를 개통했다. 엄밀하게 빈 협약의 가이드라인에 맞는 세계 첫 고속도로 보유국은 이탈리아인 것이다. 미국 뉴욕주에는 같은 해 북미 최초로 중앙분리대와 입체교차로를 갖춘 브롱스 리버 파크웨이(BRP)가, 독일에서는 1932년 본과 쾰른을 연결하는 아우토반(BAB 555)이 건설됐다.

 

Autostrada A9


우리나라는 제2차 경제개발계획 첫해인 1967년 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돼 이듬해 12월 21일 경인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신갈) 구간이 동시에 개통됐다. 당시 신문에는 일제히 ‘경인·경수 고속도로 개통-박정희 대통령 완공식 참석’이라는 기사가 1면 머리에 올랐다. 그리고 설 연휴 직전인 지난 7일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포천~조안 구간이 개통되면서 우리나라 고속도로 51개를 모두 합친 길이는 5016.6㎞가 됐다.

첫 개통 56년 만에 ‘고속도로 5000㎞’라는 기록을 달성한 것이다. 여기에 서울 올림픽대로, 부산 광안대로, 대구 신천대로 같은 자동차전용도로를 생각하면 우리는 세계 최고의 도로 인프라를 갖춘 나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설 연휴 고향 다녀오는 길은 여전히 꽉 막혔으니 답답하다. 고속도로가 아직 모자라니 더 만들어야 하는 것일까.

 

LIST